Ko:Tag:amenity=animal_shelter
![]() |
| 설명 |
|---|
| 동물 보호소. 동물을 회복시키는 쉼터/보호소. |
| 그룹: 동물 |
| 해당 요소의 사용 |
| 유용한 조합 |
| 같이 보기 |
| 상태:승인 |
| 이 태그를 위한 도구 |
동물 보호소는 어려움에 처한 동물을 데려온 후 시설의 직원들(자원봉사자일 수도 있고, 월급을 받고 일하는 직원일 수도 있음)이 동물을 먹이고 돌보고, 필요하다면 재활하고 치유하는 시설입니다. 이 정의는 유기견 보호소, 유기 고양이 보호소, 기타 유기 반려동물을 위한 보호소 및 야생동물 치유/회복 센터를 포함합니다.
태그
| 태그 | 설명 |
|---|---|
amenity= |
필수, 해당 개체가 동물 보호소를 의미한다는 사실을 표현하기 위한 태그입니다. |
animal_shelter=<동물>[;<동물>...] |
선택, 쉼터에서 수용하는 동물의 종류를 나열하는 태그입니다. <동물>에 정확히 어떤 값을 넣어야 할지 잘 모르겠다면 수용하는 동물의 종류 단락을 참고하세요. |
animal_shelter:<목적>=yes/no/<동물>[;<동물>...] |
선택, 동물을 수용하는 목적을 나타내는 태그입니다. <목적>에 정확히 어떤 값을 넣어야 할지 잘 모르겠다면 수용소의 목적 단락을 참고하세요. 이 태그를 사용할 때는 animal_shelter=<동물>에서 나열한 모든 동물에 수용 목적을 대응시켜 주어야 합니다. 만약 모든 동물의 수용 목적이 동일하다면 'yes'를 적으세요. 그렇지 않다면 각 목적에 해당되는 동물을 나열하세요. <동물>에 정확히 어떤 값을 넣어야 할지 잘 모르겠다면 수용하는 동물의 종류 단락을 참고하세요. |
name=* |
선택, 시설의 명칭. |
operator=* |
선택, 시설을 운영하는 회사, 단체, 개인 등. |
위에 나열된 태그는 시설 전체 영역에 붙여야 합니다. 영역 내의 건물, 잔디, 공터, 울타리를 식별할 수 있다면 별도의 개체로 그린 후 building=yes, landuse=grass와 같은 태그를 적절히 붙여 주세요.
수용소의 목적
동물을 수용하는 주 목적을 <목적> 하위 키로 명시할 수 있습니다.
| <목적> | 설명 | 위키데이터 |
|---|---|---|
| adoption | 동물(주로 유기 동물)을 입양시킬 목적으로 수용하는 시설. | |
| release | 부상당한 동물(주로 야생동물)을 치료해 자연으로 방생할 목적으로 수용하는 시설. | |
| sanctuary | 학대받거나 버려진 동물(주로 동물 사육장이나 야생에서 구조한 동물)을 치유하기 위한 시설. |
수용하는 동물의 종류
각 동물 또는 동물 집단을 적을 때는 영어 단수형을 사용하세요(즉, dogs가 아닌 dog를, birds가 아닌 bird를 사용해야 합니다). 시설에서 두 종류 이상의 동물을 수용한다면 각 동물을 세미콜론으로 구분해 나열하세요.
| <동물> | 수용하는 동물 | 위키데이터 |
|---|---|---|
| dog | 개 | |
| cat | 고양이 | |
| horse | 말 | |
| wildlife | 모든 야생동물 종 | |
| fish | 모든 어류 | |
| amphibian | 모든 양서류 | |
| reptile | 모든 파충류 | |
| bird | 모든 조류 | |
| mammal | 모든 포유류 | |
| sea_mammal | 모든 해양 포유류 | ? |
| sea_animal | 모든 해양 동물(해양 포유류, 바다거북, 물고기 등) | |
| <사용자 정의> | 위 값 외에도 원하는 동물 및 동물 집단을 자유롭게 적을 수 있습니다. 많이 사용되는 값을 Taginfo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. |
학명: 동물의 학명을 병기하고 싶으시다면 species=*(종) 또는 genus=*(속), taxon=*(분류군) 태그를 사용하세요. 학명은 반드시 병기할 필요는 없습니다.
동물 보호 서비스를 부차적으로 취급하는 시설
동물병원(amenity=veterinary), 동물 돌봄 시설(amenity=animal_boarding) 등에서 부차적으로 동물 돌봄 서비스를 취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 이 경우 시설의 1차 목적에 따라 먼저 태그를 지정한 후 아래의 2차 목적 태그를 붙여야 합니다.
| 태그 | 설명 |
|---|---|
animal_shelter=yes/no/<동물>[;<동물>...] |
동물 돌봄 서비스의 제공 여부. 값에 나열된 동물을 수용합니다. 만약 수용 가능한 동물의 종류를 모르겠다면 'yes'만 적으세요. <동물>에 정확히 어떤 값을 넣어야 할지 잘 모르겠다면 수용하는 동물의 종류 단락을 참고하세요. |
렌더링
입양 보호소
야생으로 방생하기 위해 보호하는 시설
예시
| 태그 조합 | 설명 |
|---|---|
| amenity=animal_shelter | 동물 보호소 전반을 나타내는 태그. 수용되는 동물의 유형, 동물을 보호하는 이유는 알 수 없습니다. |
| amenity=animal_shelter animal_shelter=dog |
개 보호소(켄넬). 개를 보호하는 이유는 알 수 없습니다. |
| amenity=animal_shelter animal_shelter=dog animal_shelter:adoption=yes |
입양을 보내기 위해 개를 보호하는 시설. |
| amenity=animal_shelter animal_shelter=wildlife animal_shelter:release=yes |
자연으로 방생하기 위해 개를 보호하는 시설. |
| amenity=animal_shelter animal_shelter=bird;sea_animal animal_shelter:release=yes |
자연으로 방생하기 위해 새와 해양 동물을 보호하는 시설. |
| amenity=animal_shelter animal_shelter=dog;cat;wildlife animal_shelter:adoption=dog;cat animal_shelter:release=wildlife |
입양을 보내기 위해 개와 고양이를 보호하고, 자연으로 방생하기 위해 야생동물을 보호하는 시설. |
| amenity=animal_shelter animal_shelter=cat animal_shelter:adoption=yes animal_boarding=cat |
입양을 보내기 위해 고양이를 보호하는 시설. 임시로 고양이를 맡아 주는 돌봄 서비스도 취급합니다. |
| amenity=animal_shelter animal_shelter=dog;cat animal_shelter:adoption=yes animal_boarding=cat |
입양을 보내기 위해 개와 고양이를 보호하는 시설. 임시로 고양이(개는 해당되지 않음)를 맡아 주는 돌봄 서비스도 취급합니다. |
| amenity=veterinary animal_shelter=dog;cat animal_boarding=cat |
개와 고양이를 보호하는 동물병원. 임시로 고양이(개는 해당되지 않음)를 맡아 주는 돌봄 서비스도 취급합니다. |
관련 태그
amenity=animal_boarding– 동물 돌봄 시설.amenity=animal_breeding– 동물 사육 시설.man_made=insect_hotel– 곤충 호텔. 곤충을 보호하는 시설.
관련 문서
일어날 수 있는 실수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