Ko:Key:toll
![]() |
| 설명 |
|---|
| 일반적인 차량이 통과할 때 요금을 내야 하는 도로를 나타내는 태그. |
| 그룹: 속성 |
| 해당 요소의 사용 |
| 같이 보기 |
| 상태:사실상 표준 |
| 이 태그를 위한 도구 |
=* 태그는 일반적인 차량이 통과할 때 요금을 내야 하는 도로, 다리, 터널 등을 나타내는 태그입니다. 특정 차량만 요금 지불 대상에 해당한다면 toll:hgv=yes(대형 차랑)과 같은 태그를 추가로 붙이고, 특정 차량이 요금 지불 대상에서 제외된다면 toll:bicycle=no(자전거)와 같은 태그를 추가로 붙여 주세요.
지도에 그리는 방법
유턴을 제외하고는 '탈출'할 수 없는 구간만 통행료가 부과되는 도로로 표시해야 합니다. 무료로 주행할 수 있는 도로 구간을 유지하되 특정 지점을 통과할 경우 통행료를 부과하는 경우(개방형 요금소)도 있습니다. 이러한 경우 요금소 주변 구역만 유료 도로로 표시해야 합니다.
- 대부분의 차량이 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경우
=yes를 사용하고 요금이 부과되지 않는 차종을 예외로 표시하세요(예시::bicycle=no(자전거),:motorcycle=no(오토바이),toll:hov=no(승합차)). - 대부분의 차량이 요금을 지불하지 않는 경우,
=no태그와 함께 요금이 부과되는 차종을 예외로 표시하세요(예시:=no+:hgv=yes(대형 차량)). - 지역 내 대부분의 고속도로 또는 터널이 유료인 경우, 특정 도로가 예외적으로 무료 도로라는 사실을 나타내기 위해
=no태그를 명시적으로 붙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. =snowmobile- 겨울철에 스노모빌로 비포장 도로를 이용하려면 운영자에게 (연간) 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도로를 나타내는 태그입니다. 여름철에는 누구나 도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요금이 부과되지 않습니다.
실제 요금소를 오픈스트리트맵에 나타내려면 barrier=toll_booth 태그를 사용하고, 하이패스 갠트리(지지대)를 나타내려면 highway=toll_gantry 태그를 사용하세요.
렌더링
OpenStreetMap Americana에서는 유료 도로를 노란색으로 표시합니다.
관련 문서
fee=*- 시설 이용 요금 및 접근/통과 요금의 부과 여부.payment=*- 이용 가능한 지불 수단.barrier=toll_booth- 요금소.highway=toll_gantry- 전자식 요금 정산기를 매단 지지대(갠트리). 한국에서는 하이패스 원톨링 시스템에서 볼 수 있습니다.type=enforcement+enforcement=toll- 요금소 단속 시스템(Relation:enforcement)(교통 법규 위반 및 법규 적용 구역을 측정하고 기록하는 장치).
